FF4D6E351CD2CE2C42BBE544BE94C4CA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정부지원금 정리
본문 바로가기
정보/정부지원금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정부지원금 정리

by sunnyonul 2025. 4. 26.
반응형

정부 주거 지원금 총정리

목차

  1. 청년·신혼부부 월세 지원
  2. 전세자금 대출 이자 지원
  3. 주거급여
  4. 저소득층 주택바우처
  5. 긴급 주거지원
  6. 주거 지원금 신청 시 주의사항
  7. 자주 묻는 질문(FAQ)

1. 청년·신혼부부 월세 지원

청년 월세 지원금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중위소득 60% 이하
  • 지원: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 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신혼부부 월세 지원

  • 대상: 혼인 신고 후 7년 이내, 중위소득 100% 이하
  • 지원: 월 최대 40만 원, 최대 24개월
  • 신청: LH청약센터 또는 주민센터

참고사항

  • 온라인(복지로, LH청약센터)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심사 후 지급(최대 2개월 소요), 월세 선납 후 지급
  • 소득 기준 충족 시 중복 신청 가능
  • 신청 기간 확인 필수

2. 전세자금 대출 이자 지원

청년 전세자금 대출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지원: 최대 2억 원, 연 1.2~2.1%
  • 신청: 은행 또는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 대상: 혼인 신고 후 7년 이내
  • 지원: 최대 3억 원, 연 1.0~2.2%
  • 신청: 은행 또는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참고사항

  • 신혼부부 중위소득 100% 이하 우대 금리
  • 대출 실행 후 1년 이상 거주 필요
  • 임대차 계약 후 보증금 5% 이상 지급 필요
  • 전세보증보험 가입 필수

3. 주거급여

  • 대상: 중위소득 47% 이하 가구
  • 지원:
    • 임차가구: 월 최대 41.3만 원(가구원수·지역별 차등)
    • 자가가구: 노후 주택 보수비 지원
  • 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제출서류: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소득증빙 등
  • 참고: 1년에 1번 갱신, 소득 변동 시 신고 필수

4. 저소득층 주택바우처

  • 대상: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1인가구·고령자·장애인 추가 지원
  • 지원: 월 최대 35만 원(대도시), 25만 원(중소도시)
  • 신청: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제출서류: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소득증빙 등
  • 참고: 1년마다 갱신, 임차가구만 신청 가능

5. 긴급 주거지원

  • 지원유형:
    • 단기 임시 거처(최대 6개월)
    • 월세 지원(최대 12개월)
    • 전세보증금 무이자 대출(최대 1억 원)
  • 대상: 실직, 폐업, 주거지 강제퇴거, 가정폭력·학대, 중증질병 등 위기 상황
  • 신청: 복지로, 주민센터, 보건복지상담센터(129)
  • 제출서류: 주민등록등본, 소득증빙, 주거 위기 증빙자료
  • 참고: 단기 지원, 지원 종료 전 대책 마련 필요

6. 주거 지원금 신청 시 주의사항

  • 소득 기준, 임대차 계약서 제출, 신청기한, 중복지원 여부 확인
  • 신청 후 소득·재산 변동 시 신고 필수
  • 허위 서류 제출 시 지원금 중단 및 환수

7. 자주 묻는 질문(FAQ)

  • 복지로에서 주거급여, 긴급주거지원, 일부 월세 지원금 신청 가능
    (전세자금 대출 등은 해당 기관에서 신청)
  • 주거급여와 청년 월세 지원금은 중복 불가
    (단, 분리 거주 청년은 가능)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은 소득 기준 있음
  • 긴급 주거지원은 심사 후 즉시 임시 거처 제공

필요한 항목만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목차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반응형